각종 정보

환갑나이 계산 & 60갑자에 대한 내용 정리

코알라핑퐁 2025. 4. 15. 10:22
반응형

📚 글 구성 (목차)

  1. 60갑자란 무엇인가요?
  2. 왜 60개만 있을까요? 
  3. 60갑자와 환갑의 관계
  4. 환갑 나이는 어떻게 계산하나요? + 환갑 나이표
  5. 환갑 회갑의 의미 차이


1. 60갑자란 무엇인가요?

‘갑자(甲子), 을축(乙丑), 병인(丙寅)...’으로 이어지는 60가지의 간지 조합
이는 천간(10개) 지지(12개)를 순서대로

하나씩 짝지어 만든 것으로, 60년을 주기로 반복되요!

천간: 갑, 을, 병, 정, 무, 기, 경, 신, 임, 계 (10개)
지지: 자, 축, 인, 묘, 진, 사, 오, 미, 신, 유, 술, 해 (12개)

🌟 60갑자 전체 목록

 

1 갑자 (甲子) 16 기묘 (己卯) 31 갑오 (甲午) 46 기유 (己酉)
2 을축 (乙丑) 17 경진 (庚辰) 32 을미 (乙未) 47 경술 (庚戌)
3 병인 (丙寅) 18 신사 (辛巳) 33 병신 (丙申) 48 신해 (辛亥)
4 정묘 (丁卯) 19 임오 (壬午) 34 정유 (丁酉) 49 임자 (壬子)
5 무진 (戊辰) 20 계미 (癸未) 35 무술 (戊戌) 50 계축 (癸丑)
6 기사 (己巳) 21 갑신 (甲申) 36 기해 (己亥) 51 갑인 (甲寅)
7 경오 (庚午) 22 을유 (乙酉) 37 경자 (庚子) 52 을묘 (乙卯)
8 신미 (辛未) 23 병술 (丙戌) 38 신축 (辛丑) 53 병진 (丙辰)
9 임신 (壬申) 24 정해 (丁亥) 39 임인 (壬寅) 54 정사 (丁巳)
10 계유 (癸酉) 25 무자 (戊子) 40 계묘 (癸卯) 55 무오 (戊午)
11 갑술 (甲戌) 26 기축 (己丑) 41 갑진 (甲辰) 56 기미 (己未)
12 을해 (乙亥) 27 경인 (庚寅) 42 을사 (乙巳) 57 경신 (庚申)
13 병자 (丙子) 28 신묘 (辛卯) 43 병오 (丙午) 58 신유 (辛酉)
14 정축 (丁丑) 29 임진 (壬辰) 44 정미 (丁未) 59 임술 (壬戌)
15 무인 (戊寅) 30 계사 (癸巳) 45 무신 (戊申) 60 계해 (癸亥)

어? 근데 10x12 = 120 아닌가요?


2. 왜 60개만 있나요? 120개 아니에요?

천간(10)과 지지(12)는 최소공배수가 60입니다.

즉, 10과 12의 최소공배수 = 60

60번 순환하면 처음 조합인 "갑자(甲子)"로 돌아옵니다.

그래서 총 60가지의 조합만 있고, 이게 한 주기를 이뤄요.
이걸 육십갑자(六十甲子)라고 하며,

60년 주기의 달력 또는 연대 시스템이 형성됩니다.

 

천간 10개와 지지 12개의 순환 방식

  • 천간: 10진법 (10년 주기)
    → 갑(甲), 을(乙), 병(丙), 정(丁), 무(戊), 기(己), 경(庚), 신(辛), 임(壬), 계(癸)
  • 지지: 12진법 (12년 주기)
    → 자(子), 축(丑), 인(寅), 묘(卯), 진(辰), 사(巳), 오(午), 미(未), 신(申), 유(酉), 술(戌), 해(亥)

이 둘을 순서대로 하나씩 짝지으면:

(1) 갑자 → (2) 을축 → (3) 병인 → … 이렇게 순서대로 나가다가

  • 10번째 조합은 계유
  • 11번째엔 천간이 처음으로 돌아가서 갑술, 지지는 계속 진행
  • 12번째엔 을해 … 이렇게 계속 돌아감

이렇게 진행되다가 최소공배수인 60개 반복이 되죠.


3. 60갑자와 환갑의 관계

사람이 태어난 해의 간지가 다시 돌아오는 해가 바로 환갑입니다.
예를 들어 1964년생(갑진년)이라면,

2024년에 다시 갑진년이 오므로 2024년이 환갑 해가 됩니다.
즉, 자신이 태어난 갑자(간지)가 60년 만에 순환을 마치고 돌아오는 해,

바로 그것이 환갑입니다.

그런데 왜 '환갑'이 특별할까요?

예전에는 지금처럼 평균수명이 길지 않았죠.

조선시대만 해도 대부분의 사람이 50세를 넘기기 어려웠고,

60세까지 건강히 살아있는 것 자체가 큰 경사였습니다.
그래서 60세 생일인 환갑은 단순한 생일이 아닌,

‘인생의 한 주기를 무사히 마쳤다’는 의미의 축하 의식!

 

하지만 요즘은 평균 수명이 늘어나서... 의미가 많이 감소하였죠.

대한민국 평균수명으로는 여성 90.7세, 여성 86.7세로

앞으로 더 늘어날꺼라고 전망한다면... 60살은 청춘이네요!


4. 환갑 나이는 어떻게 계산하나요?

전통적으로는 만 59세가 끝나고 60세가 되는 해를 환갑이라 하며,
요즘은 출생연도 + 60년 = 환갑 해로 계산합니다.

환갑나이표 , 환갑계산기

 

2020년 1960년생 경자 (庚子)
2021년 1961년생 신축 (辛丑)
2022년 1962년생 임인 (壬寅)
2023년 1963년생 계묘 (癸卯)
2024년 1964년생 갑진 (甲辰)
2025년 1965년생 을사 (乙巳)
2026년 1966년생 병오 (丙午)
2027년 1967년생 정미 (丁未)
2028년 1968년생 무신 (戊申)
2029년 1969년생 기유 (己酉)
2030년 1970년생 경술 (庚戌)

✔ 참고로, 위에 해당하는 출생년도에 태어나신 분들은 그 해에 60세, 즉 환갑이 되는 해입니다.

 

2025년도는 1965년생분들이 환갑이네요!


5. 회갑 환갑의 의미차이

 

한자 의미 돌아올 ‘환(還)’ + 천간의 첫 글자 ‘갑(甲)’ → “갑자가 돌아왔다” 돌아올 ‘회(回)’ + 갑(甲) → “갑자가 다시 왔다”
의미 태어난 해의 간지(갑자)가 60년 만에 되돌아온다는 의미 동일하게 간지가 한 바퀴 돌아 다시 왔다는 뜻
사용 전통적, 고문서나 유교적 표현에 자주 등장 대중적이고 현대적, 생일잔치나 행사명칭에서 많이 사용
예시 “올해 환갑이라 제사를 크게 지낸다” “할아버지 회갑잔치 준비 중이에요”

 

두 단어 모두 "60세가 되는 해, 태어난 간지가 돌아오는 해"를 뜻하며 실질적인 의미는 동일합니다.

‘환갑’: 좀 더 전통적이고 유교적인 표현

‘회갑’: 일상적, 현대적인 표현으로, 잔치 문화에서 자주 사용

  • “환갑 진갑 칠순 팔순”처럼 전통 생애주기 표현에서는 '환갑'
  • “회갑잔치 준비해요~”처럼 잔치나 파티에서는 '회갑'

이상 환갑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