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29

녹차,말차,홍차,둥굴레차,보리차 카페인이 있을까?

카페인에 잠 못이루시는 분들 많나요?저는 커피를 마시면 잠을 잘 못자는 편이거든요.하지만 친구들과 약속에 카페는 가야겠고카페인이 음료를 찾고는 싶은데과연 녹차, 말차, 홍차, 둥굴레차, 보리차 등에는 카페인이 없을까요? 1. 차 종류별 카페인 함량 비교표음료 종류카페인 함량 (1잔/약 200ml 기준)카페인 유무비교 아메리카노 (원샷)약 80~100mg● 있음로스팅 강도·추출 방식에 따라 차이 큼에스프레소 (30ml)약 63mg● 있음농도는 가장 진함녹차 (티백)약 20~30mg● 있음티백 or 잎차 모두 함유. 우려내는 시간에 따라 달라짐홍차 (티백)약 40~70mg● 있음대부분 커피보단 적지만 강한 종류도 있음우롱차약 30~50mg● 있음발효도에 따라 농도 다름둥굴레차0mg (or 거의 없음)○ 없음..

각종 정보 2025.04.25

달러인덱스란 무엇인가? 환율 흐름의 나침반!

해외 뉴스나 경제 유튜브를 보다 보면“달러 인덱스가 오르면 ~~하고, 떨어지면 ~~다” 같은 말 자주 듣지 않나요?그런데 정확히 달러 인덱스가 뭔지, 왜 중요한지 알고 계신가요? 1. 달러 인덱스란?달러 인덱스(Dollar Index)는미국 달러의 ‘가치’를 주요 6개국 통화에 비해 수치로 나타낸 지표입니다.쉽게 말하면,"달러가 다른 나라 통화들에 비해 얼마나 강한지, 혹은 약한지를 보여주는 지표!"이 지수가 올라간다는 건 → 달러가 상대적으로 강세라는 뜻이고,지수가 내려간다면 → 달러가 약세라는 걸 의미해요.2. 구성 통화는 누구?달러 인덱스는 6개국의 통화를 기준으로 계산됩니다.이 구성은 1973년 이후부터 지금까지 유지되고 있어요.통화국가비중 (%) 유로(EUR)유로존(독일, 프랑스 등)57.6%엔..

각종 정보 2025.04.25

김밥 vs 후토마끼, 도대체 누가 먼저였을까?

김밥과 후토마끼를 보면 문득 이런 생각이 들 때가 있죠.“어? 이거 그냥 똑같은 음식 아닌가?”검은 김으로 밥을 감싸고, 속재료를 채운 다음 돌돌 말아 썰어서 먹는 구성까지, 너무 닮았거든요.그래서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죠 — "도대체 누가 먼저 만든 음식일까?" 1️⃣ 먼저 결론부터 말하자면…후토마끼가 먼저입니다.기록상으로는 에도시대(1603~1868)에 이미 등장했고,‘노리마키(김말이)’의 한 종류로 발전해왔어요.반면, 김밥은 20세기 초 이후, 일본 음식 문화의 영향 아래 등장했다는 게 학계의 중론이에요.즉, "김밥은 후토마끼에서 영향을 받았지만,완전히 다른 방향으로 발전했다"는 게 맞는 말이에요.2️⃣ 김밥은 진짜 후토마끼 베끼기였을까?그렇게 보긴 어렵습니다.일제강점기 시절, 한국에 일본식 도시락..

각종 정보 2025.04.25

스탑오버 & 레이오버 차이! 헷갈려요!

비행기 경유편을 예약하다 보면 '스탑오버'와 '레이오버'라는 단어를 접하게 됩니다.둘 다 "어딘가에 잠시 머무르는 것"처럼 보이지만,실제로는 항공권 가격, 일정, 입국 심사 여부까지영향을 줄 수 있는 중요한 개념이에요.이 둘의 차이를 확실히 알고 있으면,더 알찬 여행 일정도 만들 수 있습니다! 1. 레이오버(Layover)란?레이오버는 짧은 시간 동안의 환승을 의미합니다.일반적으로 24시간 이내(국제선 기준)에 다음 비행기로 갈아타는 경우를 말하죠.예를 들어, 인천에서 파리로 가는 비행기인데,두바이에서 4시간 머무른다면 그건 레이오버입니다.✅ 보통 공항 밖으로 나갈 수 없고 공항 내에서 대기✅ 항공사에서 제공하는 환승 호텔은 거의 없음 (특정 조건 제외)✅ 추가 비용 없이 경유 가능2. 스탑오버(Stop..

각종 정보 2025.04.25

냉동식품, 몇 년 지나도 먹어도 될까?

1. 냉동식품 소비기한(가정용 냉동 기준, 약 -18°C 이하)소고기 (덩어리)6~12개월소고기 (다짐육)3~4개월돼지고기 (덩어리)4~6개월돼지고기 (다짐육)2~3개월닭고기 (통닭)12개월닭고기 (조각)9개월가공육 (소시지, 햄 등)1~2개월냉동만두, 냉동치킨, 너겟 등3~6개월냉동피자, 냉동볶음밥3~6개월냉동채소, 냉동과일8~12개월냉동 생선, 해산물3~6개월냉동 우유/치즈1~3개월📌 참고: ‘소비기한’은 '유통기한'과 다르게, 실제 섭취 가능한 기간을 말합니다. 냉동보관 시 유통기한은 지나도 먹을 수는 있지만, 식감과 풍미가 저하될 수 있어요.2. 안전하게 냉동 보관하는 팁-18°C 이하로 일정하게 유지진공포장 또는 지퍼백+랩 2중 포장 추천소분 후 라벨링 (종류, 날짜 기입)해동은 냉장실에서 천..

각종 정보 2025.04.17

비행기 난기류로 추락할 수 있을까? +실제 사고 사례

1. 비행기 난기류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비행기를 타면 '쿵' 하는 갑자기 기체가 흔들리는 경험을 하게된다.이러한 흔들림의 대부분은 '난기류(Turbulence)' 때문이다.기내 방송에서도 황급한 목소리로 벨트를 차라고 지시하며승무원의 다급한 목소리에 불안감은 더 해진다.자동차가 흔들리는건 무섭지 않지만, 비행기는... 무섭다... 과연 난기류는 얼마나 위험할까?2. 비행기 사고 통계와 난기류 관련 사고 비율전 세계 항공기 사고 중 대다수는 이착륙 과정에서 발생한다. 순항 중 사고는 매우 드문 편이다. 순항 중 일어나는 사고 중 상당수가 '난기류'와 관련이 있지만, 대부분은 경미한 부상에 그친다. 미국 연방항공청(FAA)에 따르면, 난기류로 인한 항공기 사고는 매년 평균 약 50건 미만이다.그중 승객이나 ..

각종 정보 2025.04.17

연봉은 세전일까? 세후일까? 논쟁 정리!

1️⃣ 결론부터 말하자면…대부분의 경우 '연봉'은 세전 기준입니다.즉, 각종 세금과 4대 보험료가 공제되기 전 금액이에요.연봉계약서에 나오는 금액, 구인구직 사이트에 나오는 연봉은 모두 세전! 세전 : 세금을 떼기 전세후 : 세금을 뗀 후2️⃣ 왜 헷갈릴까? 월급은 세후라서!직장인들이 실제로 받는 월급(실수령액)은 세후 금액이에요.그래서 연봉을 말할 때도 본인이 실제로 받는 금액 기준으로 생각해서 혼란이 생기죠.📌 예시:연봉 3,000만 원 (세전) → 월 실수령 약 230~240만 원 (세후)보통 직장인들 사이에서는 1년에 받는 돈인 연봉을 세전1개월에 받는 돈은 세후로 얘기합니다.약간 헷갈릴만 하죠.월급 X 12개월 = 연봉 이 성립하지 않으니까요!직장인 언어로 생각하시면 편할것같아요.아마... 월..

각종 정보 2025.04.16

환갑나이 계산 & 60갑자에 대한 내용 정리

📚 글 구성 (목차)60갑자란 무엇인가요?왜 60개만 있을까요? 60갑자와 환갑의 관계환갑 나이는 어떻게 계산하나요? + 환갑 나이표환갑 회갑의 의미 차이1. 60갑자란 무엇인가요?‘갑자(甲子), 을축(乙丑), 병인(丙寅)...’으로 이어지는 60가지의 간지 조합이는 천간(10개) 지지(12개)를 순서대로하나씩 짝지어 만든 것으로, 60년을 주기로 반복되요!천간: 갑, 을, 병, 정, 무, 기, 경, 신, 임, 계 (10개)지지: 자, 축, 인, 묘, 진, 사, 오, 미, 신, 유, 술, 해 (12개)🌟 60갑자 전체 목록 1갑자 (甲子)16기묘 (己卯)31갑오 (甲午)46기유 (己酉)2을축 (乙丑)17경진 (庚辰)32을미 (乙未)47경술 (庚戌)3병인 (丙寅)18신사 (辛巳)33병신 (丙申)48신해..

각종 정보 2025.04.15

캐리어 파손시 대처방법. 공항 나가지 마세요!

✈️ 수하물 찾았는데 캐리어가 파손됐다면? 절대 입국장을 벗어나지 마세요!여행중에 수하물 벨트에서 캐리어를 찾았는데,내 소중한 캐리어가 파손이 되었다면?이럴 땐 어떻게 해야 할까요? 1. 입국장을 벗어나지 않아야 한다!가장 중요한 건 “절대 입국장을 벗어나지 말 것!”입니다.수하물 파손은 공항 내 수하물 처리 과정 또는 항공사 책임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입국장 안에 있는 ‘수하물 분실 및 파손 신고 센터’로 바로 가야 합니다.일단 입국장을 나오면 항공사 과실임을 증빙하기가 어렵게되죠.그래서 현장에서 바로 확인받는 것이 가장 확실한 보상 방법입니다.물론 증빙만 가능하다면 나중에 연락을 통한 보장 신청도 가능하지만.. 아무래도 어렵겠죠...?? 2. 파손 시 받을 수 있는 보상 종류항공사에서는 수하물 파손..

각종 정보 2025.04.10

재건축 vs 재개발, 뭐가 더 돈이 될까? 차이점 정리

재건축 vs 재개발, 뭐가 다르고 뭐가 더 돈이 될까?1. 🔍 개념부터 정확히! 재건축 vs 재개발부동산 뉴스를 보다 보면 '재건축' 또는 '재개발'에 대한 얘기가 자주 등장해요.얼핏 보면 비슷해 보여도 근본적인 차이가 있어요!재건축: 노후된 아파트 단지를 헐고 새 아파트를 짓는 것.예: 1980~90년대에 지어진 아파트들 중심재개발: 노후 주택가(다세대, 단독주택, 빌라 등)를 정비하고 아파트 단지로 새로 개발하는 것.기반시설(도로, 하수도 등)도 함께 정비하는 게 특징요약하자면,재건축은 아파트 → 아파트재개발은 주택가 → 아파트 단지로 바뀌는 구조입니다..2. 💰 수익 구조 & 사업 소요 시간 비교사람들이 가장 궁금해하는 부분이죠. 결국 돈!“재건축이 더 돈 되나요? 재개발은 리스크가 큰가요?” ..

카테고리 없음 2025.04.10
반응형